참고 링크 :
- [보안뉴스] [보안용어 A to Z] 스테가노그래피(Steganography) (2015-08-26 18:01)
스테가노그래피
데이터 은폐 기술 중 하나이며,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에 삽입하는 기술 혹은 그 연구를 가리킨다. 전달하려는 정보를 이미지 파일이나 MP3 파일, 동영상 파일 등에 암호화해 숨긴다. 크립토그래피 (Cryptograpy)가 메시지의 내용을 읽을 수 없게 하는 수단인 반면, 스테가노그래피는 존재 자체를 숨긴다.
암호화(Encryption)와는 약간 개념이 다르다. 파일 안에 파일을 숨기는 방식이며, 암호화된 방식을 모르면 알아채기 힘들다는 특징이 있다. 그러나 다량의 데이터를 숨기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.
이 기술은 크게 삽입 기법과 수정 기법으로 나뉘어진다.
(1) 삽입 기법
- 파일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 추가 데이터를 파일 앞이나 뒤에 붙이는 방식이다.
- 이미지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.
(2) 수정 기법
- 이미지 파일에서 Red, Green, Blue를 나타내는 RGB 값을 최하위 비트 (LSB)로 수정하는 기법이다.
- 최하위비트는 수정해도 육안으로 알아차리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는 방식이다.
스테가노그래피를 활용한 공격은 멀웨어 감지 툴이나 방어 소프트웨어로 탐자히가기 매우 힘들다.
상용 툴 : OpenStego, wbStego, EzStego 등
추가 링크 :
- [보안뉴스] 베일에 싸여있던 'APT29의 해킹과정' 밝혀지다 (2015-08-06 18:15)
'Study >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앱태크 (0) | 2018.08.09 |
---|---|
WarGame (워게임) (0) | 2016.08.29 |
오픈 소스 (Open Source) (0) | 2016.07.30 |
PreFetch와 SuperFetch (0) | 2016.07.08 |
버그바운티 (0) | 2016.06.15 |
댓글